후불제 민주주의
카테고리 정치/사회
지은이 유시민 (돌베개, 2009년)
상세보기

몇번을 미루다가 후불제민주주의를 읽기 시작했다. 점심시간에 졸린 눈을 비비며 이제 막 읽기 시작한 책에 대해 적는건 아래에 옮긴 프롤로그 때문이다.

나는 지금 목격하는 역사의 퇴행을 나에게는 불가피한 현실로 받아들인다. '나에게는 불가피한 현실'이란, 내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내힘으로는 당장 바꿀 수 없는 현실을 의미한다. 아무리 욕하고 저주하고 한탄해도, 그 현실을 바꾸는 데는 별로 효과가 없다. 이럴 때는 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내 삶의 조건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아무리 욕하고 저주하고 한탄해도, 그 현실을 바꾸는 데는 별로 효과가 없다. 이럴 때는 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내 삶의 조건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렇게 하면 나 자신의 주관적 소망에 대해 적당히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행복학'을 강의하는 차동엽 신부가 즐겨 인용하는 말씀도 도움이 된다.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그렇다. 이 역사의 퇴행 또한 지나갈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그 다음에 올 변화는 무엇일지 예측하고 준비하는 데 필요한 마음의 여유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이 내가 취하고자 하는, '원하지 않는 세상의 변화에 대처하는 자세'이다. - 후불제 민주주의 18p

'학습된 무기력'이라는 말을 입에 담고는 한다. 쓰디 쓴 자조의 의미가 대부분이었다. 격분했던 2008년이 지나가고, 그 보다 더 최악의 2009년을 지나치면서 자연스레 그리 되었다. 달라지는 것은 별로 없는 현실에 '무기력'할 수 밖에. 뉴스를 멀리하게 되고, 현실이 한줄 농담으로 치환되었다.

어쨌든 현 정권은 헌법이 부여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여 집권하지 않았나. 그 정권이 어떤 꼴을 만들던 '혁명'을 들먹이지 않는다면 그저 기다리는 수 밖에 없다. 물론 권력이 잘 행사되는지 감시하는 일도 있겠다. 허나, 제대로 감시해야할, 그리고 그런 의무가 있는 것들은 두 손 놓고 있고, 도리어 감추고만 있다. 스스로 분노해봐야 달라질 것 없는 현실. '무기력'은 너무도 빨리 학습되었다.

유시민이 책의 서두에 적어놓은 글이 생각할 거리를 준다. 맞다. 그의 태도가 소극적이라 비판할 수 있다. 지나가기를 바라며 준비하는 것이 당장 현실에 충격을 줄 수는 없을 것이다. 그가 좀더 적극적이지 않은 것이 못내 아쉬운 사람들도 있을거다.

하지만, 나에겐 '학습된 무기력'에 허우적대는, 그래서 절망까지를 떠올리게하는 상황에 괴로워하기 보다는 이 역사의 퇴행이 결국은 지나갈 것이라는 믿음이 필요하다. 이 현실을 부정하지 않고 삶의 조건으로 받아들이는 것. 그 이후를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고민이 도대체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있겠냐는 답하기 쉽지 않은 의문은 미뤄놓고 싶다.

지금은, 그저 지나갈 것이라는 믿음만으로도 힘이 되는 시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