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영화감상문을 써봤다...숙제가 무섭긴 한건지...일이 밀릴것 같아 마감시간 조금 당겨서 썼다. 시작할때는 너무 쓰기 싫었는데...그래도 쓰고나니까 후련한 기분...쓰면서 여러자료 읽고 참고하고 쓰면서 영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것 같은 느낌이 든다...내가 읽는 방식이 타당한가는 나중 문제지만...어찌됐건 그래도 영화를 이렇게 뜯어보는건 개인적으로 싫다...그것이 난해한 베르히만 영화라면 더욱 그렇다...

제7의 봉인 (Det Sjunde Inseglet)

나는 당신의 눈썹이 검고 귀가 갸름한 것도 보았습니다. / 그러나 당신의 마음을 보지 못하였습니다. / 당신이 사과를 따서 나를 주려고 크고 붉은 사과를 따로 쌀 때에 당신의 마음이 그 사과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분명히 보았습니다. 한용운 <당신의 마음> 中에서

제7봉인의 포스터

베르히만의 제7의 봉인은 마음 편하게 볼 수 있는 영화가 아니었다. 물론 어떻게 영화를 바라보느냐 하는 것은 전적으로 개인의 가치관과 인식틀에 달린 것이긴 하지만 적어도 ‘베르히만’의 영화를 베르히만의 문제제기 안에서 바라보는 것은 쉽지 않은 철학적 경험이다. 제7의 봉인에서 그는 ‘참을 수 없는 가벼움’에 익숙해진 관객에게 지독하리만치 집요하게 ‘신’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물음을 던지고 있다. ‘숨어버린 신’의 존재에 대해, 죽음에 대해, 나아가 인간의 구원에 대해 질문하는 그의 영화는 그래서 쉽지 않다. 베르히만의 영화가 더 난해하게 다가오는 또 하나의 이유는 그가 영화적 상황 속에서 질문 던지는 일만 계속할 뿐 명확한 대답을 하지 않는다는데 있다. 신과 인간에 대한 그의 사유는 그 자체로 철학적 질문으로서 정확한 답을 찾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도 있겠으나 오히려 그는 ‘물음’속에 이미 ‘해답’이 있다는 것처럼 ‘실존적 물음’ 그 자체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의 영화는 생각하지 않는 이 시대, 인간에게 던지는 큰 화두일 것이다.

이 글에서는 제7의 봉인을 통해서 ‘신’에 대한 그의 질문을 조금은 다른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이러한 질문 자체도 그가 제기하는 질문의 영역 안에서 벗어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베르히만이 제기하는 형이상학적 물음이 나에게 의미 있는 질문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서, 그리고 내 삶 속에서 보다 가치 있는 자극으로 남기 위해서 ‘신’의 의미를 다른 식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현실적으로 서구적 신관의 영향에서 조금은 벗어나있고, 또한 아직까지 종교를 갖지 않은 내가 이 영화와 대화하는 방식이다. 베르히만이 제기하는 신에 대한 질문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고 그 질문은 현대 한국사회를 ‘아무런 생각없이’ 살아가고 있는 나에게 어떤 화두가 되는가 하는 것을 간략히 탐구하고자 한다.


2001.11.21

,